방구하기5 ep07. 안전하게 살고 싶다면? 집을 고를 때 보증금이나 월세만큼 중요한 게 있다. 바로 보안 문제다.특히 혼자 산다면 더욱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아무리 예쁜 집이라도 안전하지 않으면 소용없다. 범죄 위험을 줄이고 싶은 사람이라면 아래 항목들을 꼭 확인하자! 1️⃣ 창문 침입 가능 여부 🪟창문으로 들어오는 침입 범죄, 생각보다 많다.외벽이나 가스관을 통해 올라올 수 있는 구조인지 점검하자.✅ 방범창, 가림막 설치 여부 확인✅ 없으면 집주인에게 설치 요청 가능✅ 창문 손잡이가 밖에서도 쉽게 열리지 않는지 체크 💡 방범창이 없거나 창문이 쉽게 열리는 구조라면 잠금장치 추가 설치를 요구할 수 있다. 2️⃣ 현관문 방음 🔇소리를 크게 내고 집 밖으로 나가 들어보자.✅ 소리가 복도에 그대로 들린다면 방음이 약한 집✅ 방음이 안 되면 대화 .. 2025. 3. 15. ep05. 주거 환경 점검하기 (2) 이전 글에서는 건물 외부 상태, 내부 청결, 냉난방 및 배수 상태, 창문 방향 등을 점검하는 방법을 다뤘다.이번 글에서는 도배·장판 상태, 벽 균열, 소음 문제, 방음 체크 등 심층적인 체크 항목을 정리했다.이사 후 예상치 못한 문제를 피하려면 이번 체크리스트도 꼼꼼히 확인하자!1️⃣ 벽 상태 점검 – 균열 여부 확인 필수✅ 벽 균열 여부 체크벽이 얇아 균열이 있는지 확인균열이 단순 도배 문제인지, 건물 자체의 문제인지 체크손으로 가볍게 두드려 보고 텅 빈 소리가 나면 부실 공사 가능성 있음✅ 누수 흔적 확인천장 및 벽면에 누수 자국(물 얼룩, 곰팡이) 확인장판 밑이 젖어 있거나 보일러 파이프 아래쪽에 녹이 있는지 점검📢 벽 균열이 심하면 겨울철 결로가 생기고 단열이 약해 난방비가 많이 들 수 있다.2.. 2025. 3. 15. ep04. 필수적으로 먼저 보세요 – 좋은 집을 찾기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1) 집을 구할 때 단순히 보증금과 월세만 보고 결정하면 큰 후회를 할 수 있다. 숨겨진 추가 비용부터 거주 환경까지 꼼꼼히 따져봐야 하는 요소들이 많다.이 글에서는 집을 계약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필수 체크리스트를 정리했다. 1️⃣ 보증금, 월세, 관리비 – 기본 중의 기본 집을 계약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 보증금과 월세, 그리고 관리비다.보증금: 계약 기간 동안 집주인에게 맡겨두는 금액으로, 계약 종료 후 돌려받을 수 있지만 집 수리 비용, 공과금 정산 등으로 일부 차감될 수도 있다.월세: 매달 정기적으로 내는 금액. 일반적으로 보증금이 높을수록 월세가 낮아지는 구조다.관리비: 건물 유지 비용이 포함되며, 어떤 항목이 포함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관리비 체크포인트✅ 공동 전기(.. 2025. 3. 15. ep03. 부동산 방문 가이드 집을 구하기 위해 살고 싶은 지역, 주거 형태, 예산을 정했다면 이제 부동산을 방문할 차례다. 요즘은 인터넷이나 앱으로도 매물을 확인할 수 있지만, 집은 반드시 직접 보고 판단해야 한다.부동산 방문 전 준비해야 할 것들이사 날짜 – 언제 입주할 계획인지 명확히 정하기원하는 주거 형태 – 원룸, 투룸, 오피스텔 등 선호하는 형태 선택예산 – 보증금과 월세(혹은 전세) 예산 범위 설정계약 기간 – 단기(1년 이하) 또는 장기(2년 이상) 계약 여부 고려이런 기본 정보를 준비하면 공인중개사가 조건에 맞는 집을 더 효율적으로 찾아줄 수 있다.어떤 부동산을 선택해야 할까?한 지역에서 최소 2곳 이상의 부동산 방문하기큰 길가 부동산 + 골목 안 부동산 조합으로 비교오랜 기간 운영된 '토박이' 공인중개사가 있는 곳 .. 2025. 3. 6. ep02. 어디서 어떻게 살지? 주택 임대 방식, 어떤 선택이 좋을까?독립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할 것 중 하나가 주택 임대 방식이다. 임대 형태는 크게 월세, 전세, 반전세로 나뉘며, 처음 독립하는 사람들은 비교적 초기 비용 부담이 적은 월세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고시원이나 하숙은 보증금 없이 매달 월세만 내는 방식이지만, 일반적인 원룸이나 투룸의 경우 보증금과 월세를 함께 납부해야 한다. 여기에 관리비까지 추가되므로 실제 지출은 월세 금액보다 더 많아질 수 있다. 보증금은 계약 기간 동안 집주인에게 맡겨두는 돈으로, 월세가 밀릴 경우 집주인은 보증금에서 차감할 수 있다. 또한, 퇴거 시 집 상태에 따라 일부 금액이 공제될 수도 있다. 즉, 보증금은 세입자가 집을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한 보상 역할을 한.. 2025. 3. 5. 이전 1 다음